
2025년 5월 기준, 서울 아파트 분양·입주권 거래가 전년 대비 무려 96% 증가했습니다. 아직 지어지지도 않은 집이 70억 원에 팔리고, ‘신축은 프리미엄’이라는 공식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 목차
- 거래는 활발한데, 왜 하필 ‘분양·입주권’인가?
- 올해 거래된 50억 이상 분양권 사례들
- 서울 아파트 공급은 진짜 줄고 있다
- '얼죽신'이 현실이 된 이유
- 앞으로의 분양권 시장 흐름은?
1. 거래는 활발한데, 왜 하필 ‘분양·입주권’인가?
- 2025년 5월까지 서울 분양·입주권 거래 500건
- 2024년 동기 대비 +96.85% 증가
- 청약도 아니고, 완공도 아닌 “미래의 집”을 사는 것이 대세로 바뀜
📌 → 왜냐? ‘신축’에 대한 욕망은 강한데, 새 집은 점점 더 안 나오니까.
2. 올해 거래된 50억 이상 분양권 사례들
단지명면적거래가입주 예정
청담 르엘 | 111㎡ | 70억 | 2025.11 |
아크로 삼성 | 104㎡ | 70억 | 2025.2 입주 완료 |
잠원 메이플자이 | 124㎡ | 59.5억, 57.8억, 55.5억 등 | |
개포 디에이치 퍼스티어 | 132㎡ | 54.5억 | 입주권 |
→ 집도 안 지어졌는데, 거래가 된다. 그리고 그 가격은 기존 준공 아파트보다 비싸다.
3. 서울 아파트 공급은 진짜 줄고 있다
- 올해 공급: 4.7만 가구 (적정 수요 4.6만 가구 근접)
- 내년 이후 예상 공급:
- 2026년: 4,112가구
- 2027년: 10,306가구
- 2028년: 3,080가구
- 2029년: 999가구
📉 → 급감 추세 명확
📌 특히 택지개발이 거의 없는 서울에선 재개발·재건축 의존도가 매우 높음
4.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이 현실이 된 이유
- 한국부동산원 통계: 최근 1년간 상승률 (서울 기준)
- 10~15년차 아파트: +8.93%
- 5년 이하 아파트: +8.61%
- 5~10년차 아파트: +7.87%
- 20년 초과 아파트: +5.79%
- → 결국 사람들이 찾는 건 ‘새 아파트’
- 나오는 게 없으니 “돈 더 내고라도 사고 싶다”는 흐름
5. 앞으로의 분양권 시장 흐름은?
- 규제 완화가 없다면 도시정비사업은 더 느려질 것
- 실수요자는 청약보다 프리미엄 분양권 매수로 전환
- 결과적으로 소득 양극화 → 주거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
🗣️ 결론
서울 부동산 시장은 지금 ‘새 아파트는 사치가 아닌 생존’의 시대로 들어섰습니다.
짓지도 않은 아파트가 수십억에 거래되고, 그 현상이 더이상 뉴스가 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새로운 **'부의 분기점'**을 지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문의 및 유튜브 보기
문의하기: 02-553-2003 / 유튜브로 보기
'🔍 투자썰 · 세상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썰] 초인종 소리에 깼더니… 내 집 마당에 대형 화물선이? (0) | 2025.05.24 |
---|---|
베트남 나트랑에서 만난 국산 참외, 그리고 K-문화의 힘 (4) | 2025.05.24 |
📉 2024년 4분기 고용 쇼크… 20대 임금근로자 14만8천명 감소, 건설업도 ‘붕괴 수준’ (2) | 2025.05.23 |
🇺🇸 "주한미군 4,500명 감축 검토"… 트럼프의 대북전략은 뭘 노리나? (2) | 2025.05.23 |
🎥 괴담 유튜버에서 대치동 건물주로… ‘128억’ 디바제시카의 행보 (10)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