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English | 日本語 | 中文

🔍 투자썰 · 세상썰

🏙 “짓기도 전에 70억에 팔렸다”... 서울 분양권 시장, 왜 이렇게 뜨거운가?

MAACLab 2025. 5. 23. 10:37

서울 분양권 시장이 뜨겁다

 

 

2025년 5월 기준, 서울 아파트 분양·입주권 거래가 전년 대비 무려 96% 증가했습니다. 아직 지어지지도 않은 집이 70억 원에 팔리고, ‘신축은 프리미엄’이라는 공식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 목차

  1. 거래는 활발한데, 왜 하필 ‘분양·입주권’인가?
  2. 올해 거래된 50억 이상 분양권 사례들
  3. 서울 아파트 공급은 진짜 줄고 있다
  4. '얼죽신'이 현실이 된 이유
  5. 앞으로의 분양권 시장 흐름은?

1. 거래는 활발한데, 왜 하필 ‘분양·입주권’인가?

  • 2025년 5월까지 서울 분양·입주권 거래 500건
  • 2024년 동기 대비 +96.85% 증가
  • 청약도 아니고, 완공도 아닌 “미래의 집”을 사는 것이 대세로 바뀜

📌 → 왜냐? ‘신축’에 대한 욕망은 강한데, 새 집은 점점 더 안 나오니까.


2. 올해 거래된 50억 이상 분양권 사례들

단지명면적거래가입주 예정
청담 르엘 111㎡ 70억 2025.11
아크로 삼성 104㎡ 70억 2025.2 입주 완료
잠원 메이플자이 124㎡ 59.5억, 57.8억, 55.5억 등  
개포 디에이치 퍼스티어 132㎡ 54.5억 입주권
 

집도 안 지어졌는데, 거래가 된다. 그리고 그 가격은 기존 준공 아파트보다 비싸다.


3. 서울 아파트 공급은 진짜 줄고 있다

  • 올해 공급: 4.7만 가구 (적정 수요 4.6만 가구 근접)
  • 내년 이후 예상 공급:
    • 2026년: 4,112가구
    • 2027년: 10,306가구
    • 2028년: 3,080가구
    • 2029년: 999가구

📉 → 급감 추세 명확
📌 특히 택지개발이 거의 없는 서울에선 재개발·재건축 의존도가 매우 높음


4.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이 현실이 된 이유

  • 한국부동산원 통계: 최근 1년간 상승률 (서울 기준)
    • 10~15년차 아파트: +8.93%
    • 5년 이하 아파트: +8.61%
    • 5~10년차 아파트: +7.87%
    • 20년 초과 아파트: +5.79%
  • → 결국 사람들이 찾는 건 ‘새 아파트’
  • 나오는 게 없으니 “돈 더 내고라도 사고 싶다”는 흐름

5. 앞으로의 분양권 시장 흐름은?

  • 규제 완화가 없다면 도시정비사업은 더 느려질 것
  • 실수요자는 청약보다 프리미엄 분양권 매수로 전환
  • 결과적으로 소득 양극화 → 주거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

🗣️ 결론

서울 부동산 시장은 지금 ‘새 아파트는 사치가 아닌 생존’의 시대로 들어섰습니다.
짓지도 않은 아파트가 수십억에 거래되고, 그 현상이 더이상 뉴스가 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새로운 **'부의 분기점'**을 지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 문의 및 유튜브 보기

문의하기: 02-553-2003 / 유튜브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