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English | 日本語 | 中文

🔍 투자썰 · 세상썰

📌 “비상사태” 선언하고 관세 폭격? 트럼프가 꺼낸 IEEPA란 무엇인가

MAACLab 2025. 5. 29. 21:30

트럼프 전 대통령은 동맹국에도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적용해 관세를 부과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동맹국에도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적용해 관세를 부과했다. 원래 적대국에만 적용되던 법이었지만, 그의 해석은 미국 통상전략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 목차

  1. IEEPA란 무엇인가
  2. 과거의 적용 사례
  3. 트럼프의 활용 방식 – 무엇이 다른가
  4. 법적 구조와 우회 전략
  5. 결론 – “대통령의 무기”가 된 경제권력

1. IEEPA란 무엇인가

IEEPA(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국제비상경제권한법은 1977년에 제정된 미국 연방법으로,
국가 안보나 외교·경제에 중대한 위협이 있을 경우,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도 경제적 제재를 취할 수 있게 한 법입니다.

이 법은 원래 외부의 적대세력이나 테러 집단, 불량국가에 대한 신속한 대응용으로 설계됐습니다.
즉, 전시에 준하는 경제 대응 수단이자, 행정부 권한의 핵심 도구입니다.


2. 과거의 적용 사례

이 법은 오랜 기간 적대국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활용돼 왔습니다.

  •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9·11 테러 직후, 테러 자금 차단을 위해 IEEPA 발동
  • 2014년: 오바마 대통령은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에 대응해 러시아 제재에 활용

이처럼 IEEPA는 테러, 무력 침공, 불법 금융 네트워크 대응에 초점을 맞춘 법이었습니다.


3. 트럼프의 활용 방식 – 무엇이 다른가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IEEPA의 해석과 적용 대상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 2025년 2월: 중국·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펜타닐 관세'**를 부과하며 IEEPA 발동
  • 2025년 4월: 무역적자 자체를 비상사태로 규정, 거의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그의 논리는 단순합니다.
“이민자 유입과 마약 문제, 무역적자가 미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으니 비상사태다.”
기존에는 상상도 못 하던 방식으로 IEEPA를 동맹국에게도 적용한 것입니다.


4. 법적 구조와 우회 전략

IEEPA는 대통령의 판단만으로도 발동할 수 있으며,
미 상무부나 무역대표부의 정식 절차 없이도 신속하게 관세 부과가 가능합니다.

반면 기존 무역 제재법:

  • 무역확장법 232조: 상무부 보고서 필요 (최대 270일 소요)
  • 무역법 301조: USTR 조사 필수, 정치적 절차가 많음

트럼프는 이런 제도적 번거로움을 피하고자,
IEEPA를 “대통령의 경제 핵무기”처럼 활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5. 결론 – “대통령의 무기”가 된 경제권력

트럼프 전 대통령의 IEEPA 활용은 단순한 관세 정책이 아닙니다.
대통령 권한의 확장, 무역 질서의 전환, 그리고
동맹과 적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전략이기도 합니다.

미국 내 정치가 다시 트럼프 중심으로 재편될 경우,
IEEPA는 더 강력한 수단으로 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도 전쟁이다”라는 명제를 현실화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이제 단순히 수출입 데이터를 보는 것이 아니라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통상 정책을 이해해야 할 시점입니다.


📞 문의 및 유튜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