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 대통령이 무역 협상을 끝내고 각국에 ‘최후통첩성 관세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유예 시한이 다가오는 가운데, 틱톡 매각과 이민 정책 관련 입장까지 연이어 언급하며 글로벌 경제와 외교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발언의 의미와 파장을 짚어본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 종료를 앞두고 각국에 서한을 보내겠다고 경고했다. 자동차 관세, 틱톡 매각, 이민 단속까지 트럼프식 무역 전술의 쟁점을 분석한다.
📌 목차
-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 임박
1-1. 7월8일, 유예 종료
1-2. “모든 국가에 서한 보내겠다” - 트럼프의 관세 전략 핵심
2-1. 일본·한국 겨냥한 자동차 관세
2-2. “25~50% 관세 직접 통보할 것” - 틱톡 매각 시한 연장…트럼프의 메시지
3-1. 매각 기한은 9월17일까지
3-2. “중국 정부 승인 필요, 시진핑이 알 것” - 이민자 단속 관련 입장 변화
4-1. 농장과 호텔을 위한 ‘임시 허가증’ 검토
4-2. 이민정책 vs 농업 보호의 딜레마 - 분석: 트럼프의 전략은 협상인가 통보인가?
1.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 임박
1-1. 7월8일, 유예 종료
2025년 7월8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부터 유예해온 ‘상호관세 조치’의 시한이다. 그는 각국과의 협상 대신 직접 서한을 보내 관세율을 통보하겠다고 공언했다.
1-2. “모든 국가에 서한 보내겠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200개국을 하나하나 만나지 않겠다”며 “각국에 편지를 보내 무역적자 문제를 지적하고 25~50%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언했다. 이로써 외교적 협상보다 일방적 통보 방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커졌다.
2. 트럼프의 관세 전략 핵심
2-1. 일본·한국 겨냥한 자동차 관세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특히 일본과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를 거의 수입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우리는 수백만 대를 수입한다.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이 발언은 일본·한국의 자동차 업계를 직접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2-2. “25~50% 관세 직접 통보할 것”
그는 “만날 필요도 없다. 편지 한 장이면 된다. ‘미국에서 쇼핑하려면 25%, 35%, 50%의 관세를 내라’고 하겠다”며 직접적인 관세 부과 방식을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협상 압박이 아니라 무역 질서를 재편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3. 틱톡 매각 시한 연장…트럼프의 메시지
3-1. 매각 기한은 9월17일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계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시한을 9월17일까지 연장했다. 그는 “살 사람이 있다. 매우 부유한 사람들”이라고 말했지만, 구체적 인물은 언급하지 않았다.
3-2. “중국 정부 승인 필요, 시진핑이 알 것”
틱톡 매각에 대한 결정권은 결국 중국 당국의 승인에 달려 있다고 언급한 점이 주목된다. 트럼프는 “시진핑 주석이 그렇게 할 것”이라며, 향후 양국 간 합의 가능성을 암시했다.
4. 이민자 단속 관련 입장 변화
4-1. 농장과 호텔을 위한 ‘임시 허가증’ 검토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체류 이민자들이 미국 농업을 지탱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단속 완화와 합법적 임시 허가증 발급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통적 반이민 성향과 대비되는 실용적 전환으로 보인다.
4-2. 이민정책 vs 농업 보호의 딜레마
“가장 강력한 이민 정책 옹호자이자, 가장 강력한 농민 옹호자”라는 트럼프의 말은 보수층과 농업계 양쪽을 모두 달래려는 전략이다. 그러나 정책적 일관성 부족이라는 비판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5. 분석: 트럼프의 전략은 협상인가 통보인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는 ‘협상’보다는 ‘통보’에 가깝다.
- 관세는 각국에 개별 편지로 직접 통보
- 틱톡 매각은 중국의 의사에 맡긴 듯 보이지만 압박은 계속
- 이민 문제는 실용주의 노선으로 이동 중
트럼프는 대선 정국에서 다시금 ‘미국 우선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7월8일 이후 관세 전면 적용이 현실화된다면, 세계 무역 질서에 또 한 번의 충격파가 예고된다.
'🔍 투자썰 · 세상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산업활동동향: 생산·소비·투자 모두 하락…경기 회복세 주춤 (2) | 2025.06.30 |
---|---|
중국, 일본산 수산물 수입 1년 10개월 만에 조건부 재개…후쿠시마산은 제외 (2) | 2025.06.30 |
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조사 거부 논란…7월1일 재소환 통보 (3) | 2025.06.30 |
뉴욕 증시, S&P500 최고치 눈앞…엔비디아·AI 테마 질주 (4) | 2025.06.27 |
🇺🇸 트럼프의 ‘이란 핵공습’ 자화자찬, 진실은? (1)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