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은행이 발표한 2025년 6월 월간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고, 전세가격 역시 일부 지역에서 반등세를 보이며 안정세를 유지했다. 수도권과 5대 광역시는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지방 중소도시는 보합 또는 약보합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5년 6월 전국 주택시장 동향을 KB국민은행 자료로 분석한다. 수도권 중심의 상승세, 지방의 보합세, 전세가 반등 여부 등을 중심으로 시장 흐름을 정리한다.
📌 목차
- 전국 주택 매매가격 동향
1-1. 수도권: 서울·경기 상승세 지속
1-2. 지방: 중소도시 보합세 유지 - 전세가격 흐름과 수급 지수
2-1. 전세가 반등의 징후
2-2. 전세 수급지수 안정 - 매수심리지수 및 매매전망지수
- 향후 전망 및 시장 해석
1. 전국 주택 매매가격 동향
2025년 6월 기준 전국 주택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8% 상승했다.
서울은 0.34%, 수도권은 0.25%, 5대 광역시는 0.17% 상승하며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1-1. 수도권: 서울·경기 상승세 지속
- 서울은 전 지역에서 상승했으며, 강북보다는 강남권 상승폭이 더 컸음
- 경기도는 0.19% 상승하며 꾸준한 회복세를 유지 중
- 인천은 보합세로 전환, 일부 지역에서 거래량 둔화
1-2. 지방: 중소도시 보합세 유지
- 지방 전체는 +0.10%, 하지만 대부분 보합 흐름
- 부산·대구·광주 등 일부 광역시만 미미한 상승,
- 지방 중소도시는 가격 정체 또는 소폭 하락
2. 전세가격 흐름과 수급 지수
6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8% 상승했다.
전세가 역시 서울(+0.13%), 경기(+0.07%) 중심으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2-1. 전세가 반등의 징후
- 서울 재건축 단지나 학군 인접지를 중심으로 전세가 상승
- 신규 입주물량이 다소 줄어들면서 수요 우위 시장 형성
2-2. 전세 수급지수 안정
- 전국 전세수급지수는 94.8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
- 서울은 여전히 100을 넘지 못함, 수요 대비 공급이 여유 있는 구조
- 하지만 일부 지역은 국지적 수급 불균형 존재
3. 매수심리지수 및 매매전망지수
-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97.6으로 기준선(100) 아래지만,
전월 대비 상승하며 심리적 저점 탈피 신호 - 전국 매매전망지수는 115.4, 전월(113.6) 대비 상승
→ 기대심리 회복 흐름이 시장에 반영 중
4. 향후 전망 및 시장 해석
전반적인 회복 흐름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에 집중되어 있다.
지방 중소도시는 여전히 정체 분위기이며, 거래량은 회복되었지만 가격은 제한적 반등에 그치는 모습이다.
전세시장도 학군·입지 중심으로 반등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하반기 금리 동향과 정부 정책의 방향성이 매매시장 회복 속도를 결정지을 핵심 변수가 될 것이다.
'📈 상업용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진단: 정책 효과와 경기 반등의 기회는? (8) | 2025.07.01 |
---|---|
2025년 6월, 다시 뜨거워진 가계대출: "영끌"은 어디로? (4) | 2025.07.01 |
서울 집값 폭등, 부른 건 누군가… 민주당 “부동산 대출·공급정책 즉시 정상화해야 (3) | 2025.06.26 |
서울 아파트값 또 최고 상승…성동·마포 역대급 오름세,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3) | 2025.06.26 |
🏨 서울 호텔 투자, 다시 불붙었다… 4~5성급 매물에 쏠리는 ‘큰손’ 자금 (1)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