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의 미·베트남 무역 합의 발표에 힘입어 뉴욕증시 S&P500 지수가 최고치를 재경신했다. 나스닥 상승, 나이키·테슬라 급등, 고용지표 하락 등 시장 반응을 정리한다.
목차
- S&P500, 또 다시 최고치…무슨 소식이 있었나
- 트럼프發 무역 합의, 시장은 왜 반응했나
- 나이키·테슬라 주가 급등…투자 심리 자극
- 고용지표 부진, 왜 시장은 흔들리지 않았나
- 결론: 불안한 경기 속, 정치 뉴스가 시장을 움직이는 구조
1. S&P500, 또 다시 최고치…무슨 소식이 있었나
2025년 7월 3일(현지시간),
미국 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0.47% 오른 6,227.42에 마감되며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이는 6월 30일 고점 기록을 다시 넘어선 수치다.
📊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종가변화폭
S&P500 | 6,227.42 | ▲29.41 (+0.47%) |
나스닥 | 20,393.13 | ▲190.24 (+0.94%) |
다우존스 | 44,484.42 | ▼10.52 (-0.02%) |
S&P500과 나스닥은 강세 흐름을 이어간 반면, 다우지수는 소폭 하락했다.
2. 트럼프發 무역 합의, 시장은 왜 반응했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미국과 베트남이 무역 합의를 도출했다”**고 발표했다.
📌 주요 내용:
- 베트남에 부과하던 46% 상호관세 → 20%로 대폭 인하
- 베트남의 시장 개방 조치 포함
- 기존 고관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 완화 기대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에 따라
글로벌 제조업·수출주 중심으로 주가가 반응했다.
대표적으로 베트남 생산 의존도가 높은 나이키(Nike)는 이날 4.06% 급등했다.
3. 나이키·테슬라 주가 급등…투자 심리 자극
이날 시장에서는 두 개의 상징적 종목이 눈에 띄는 급등세를 보였다.
나이키 (NIKE):
- 베트남 OEM 생산 비중 높은 브랜드
- 무역 합의로 관세 부담 완화 → 수익성 개선 기대
- +4.06% 상승
테슬라 (TESLA):
- 2분기 차량 인도량 발표
- 시장 우려와 달리 생산 차질이 예상보다 경미
- 투자자 안도심리에 따라 +4.97% 급등
두 종목 모두 투자 심리 회복의 상징처럼 작용하며
나스닥 지수 전반 상승을 견인했다.
4. 고용지표 부진, 왜 시장은 흔들리지 않았나
미 고용정보업체 ADP는
6월 민간 고용이 3만3000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3월 이후 최악의 수치다.
하지만 시장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큰 충격을 받지 않았다.
📉 시장 반응 요인:
- 무역 합의에 따른 거시경제 기대감 우세
- 고용 감소 →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 경기침체 우려보다는 정책 반응에 대한 기대가 더 크게 작용
5. 결론: 불안한 경기 속, 정치 뉴스가 시장을 움직이는 구조
이번 뉴욕증시 상승 흐름은 단순한 경기 호조가 아닌,
정치적 이벤트와 기업 심리가 결합한 결과다.
- 무역 이슈 → 기업 수익 전망 개선
- 정치 뉴스 → 리스크 완화 기대감
- 테슬라·나이키 → 심리적 상징주 반등
- 고용 감소 → 오히려 금리인하 기대 유발
📌 요약하자면:
“실물경제는 불확실하지만, 투자 심리는 뉴스에 의해 크게 요동치고 있다.”
앞으로의 증시는 실적 발표와 금리 방향성,
그리고 트럼프발 대외 메시지에 계속해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 투자썰 · 세상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보다 작은 별의 마지막 두 번의 폭발 – 백색왜성 이중 초신성의 정체가 밝혀졌다 (0) | 2025.07.03 |
---|---|
2025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 총정리: 체감 물가와 실제 지수는 일치할까? (4) | 2025.07.03 |
[해수부 이전 부결 논란] 국민의힘 해운대구의원, 왜 부산시민 역풍 맞았나 (3) | 2025.07.03 |
[K2 전차 2차 수출] 8.5조 규모, 폴란드와 사상 최대 방산 계약 체결 (4) | 2025.07.03 |
“V의 지시였다”…평양 무인기 침투 녹취 확보, 윤석열 외환 혐의 수사 본격화 (8)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