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수익률, 숫자보다 맥락이 먼저입니다"
2025년 1분기, 서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고정비 압박’과 ‘공실률 증가’라는 두 변수 속에서 움직였습니다.
하지만 모든 지역이 똑같이 흔들리진 않았죠.
이번 분기 데이터를 보며 "수익률"이라는 숫자 속에 담긴 맥락과 흐름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 1. 2025년 1분기 서울 수익률 평균: 2.39%
- 한국부동산원 상업용 부동산 통계 기준
- 전 분기 대비 소폭 하락
- 특히 중대형 근린상가, 준주거 혼합용도에서 수익률 하락폭 크다
📊 부동산원 기준 자료 요약
항목수익률
서울 전체 평균 | 2.39% |
강남 3구 평균 | 2.11% |
성동구·중구 등 도심권 | 2.5% 내외 |
송파구 일부 신규 건물 | 1.9% 이하도 존재 |
☝️ 숫자만 보면 낮아 보일 수 있지만, 실질 수익률을 만드는 건 임대 구조입니다.
🟨 2. 낮은 수익률 = 나쁜 건물일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 입지 프리미엄 지역은 원래 수익률이 낮고,
- 공실 리스크가 적거나 신축 건물일수록 가격이 올라 수익률은 낮아지는 구조
- 특히 요즘처럼 ‘자금 조달이 까다로운 시기’에는
“공실 없이 버티는 건물”이 결국 더 좋은 성과를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 3. 실수익률은 '임차구조 + 관리비 + 공실변동'이 좌우한다
- 명목 수익률은 말 그대로 “간판 숫자”
- 실제 투자자들이 확인하는 건
→ 보증금 구조
→ 임대차 갱신 가능성
→ 건물 유지비 구조
→ 향후 수선비 예측 가능성
이걸 통틀어 "구조적 수익률"이라고 부르며,
저희 MAAC도 이 기준으로 건물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
수익률은 방향이지 정답이 아닙니다
2025년 1분기, 누군가는 2% 수익률에 실망할 수 있고
또 누군가는 그 수익률이 보장되는 구조에 안도합니다.
수익률을 해석할 때는 숫자만 보지 말고,
그 숫자가 어떤 구조 안에서 만들어졌는지를 꼭 함께 보시길 바랍니다.
문의하기: 02-553-2003 / 유튜브로 보기
'📈 상업용 부동산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스 공실률 증가? 그래서 잘나가는 꼬마빌딩 (2) | 2025.04.21 |
---|---|
📈 빌딩 수익률의 진짜 계산법 (0) | 2025.04.19 |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익률보다 먼저 따져야 할 3가지 구조” (4) | 2025.04.15 |
🏢 꼬마빌딩, 매입 전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5.04.15 |
🧾 2025년 1분기, 서울 상업용 부동산 수익률은 어디로 향했나? (2) | 2025.04.12 |